서버를 구성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되는 Storage 의 정의를 알아보겠습니다.
스토리지란 번역 그대로 저장하는 장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.
현재 스토리지는 1차, 2차, 3차 로 나누어져 있는데
1차 스토리지는 램 ( RAM ) 과 같은 내부 장치를 의미하고,
2차 스토리지는 하드디스크, 테이프와 같은 외부 장치를 의미하며,
3차 스토리지는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의미합니다.
스토리지의 종류에는 세 가지가 있는데 바로 D.A.S 와 N.A.S 그리고 S.A.N 이 있습니다.
D.A.S 란 ?
D.A.S - Direct Attached Storage ( 다이렉트 )
서버에 저장장치가 직접 연결되어 사용하는 방식으로
저장공간이 부족해질 때 쉽게 용량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.
D.A.S 의 장점은
용량이 부족할 때 쉽게 확장할 수 있고, 서버와 케이블로
직접 연결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속도가 빠르다.
D.A.S 의 단점은
데이터 크기가 커짐에 따라서 서버에 효율성이 떨어지며,
서버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 스토리지 사용이 불가능하다.
N.A.S 란 ?
N.A.S - Network Attached storage ( 네트워크 )
스토리지가 다른 호스트 없이 직접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방식으로
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직접 주고 받을 수 있다.
N.A.S 의 장점
여러 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서
한 곳에서 집중하여 유지관리를 할 수 있다
N.A.S 의 단점
네트워크를 사용하므로 대역폭에 따른 제한이 있고, 병목 현상에 취약하다.
N.A.S 다운 시 스토리지 사용이 불가능하다.
S.A.N 이란 ?
S.A.N - Storage Area Network
여러 스토리지들을 하나의 네트워크에 연결시키는 방식이다.
스토리지를 접근하기 위해서는 각 호스트들은 네트워크를 거쳐서 접근한다.
S.A.N 의 장점
광케이블을 사용하여 데이터 접근이 빠르고 용량 확장이 좋다.
가격이 상대적으로 비싸고, 네트워크 구성에 따라 복잡하여 관리 포인트가 많아짐.